지이엠 코리아 뉴에너지머티리얼즈
1조 2,100억원 투자 협약 체결···
개발청 개청이래 최대규모 관련기업 집적화

새만금 국가산업단지에 한중합작으로 역대 최대 규모인 1조 2100억원을 투자해 이차전지 소재 전구체 생산 시설을 건립하는 GEM코리아뉴에너지머티리얼즈(주) 투자협약식이 24일 군산 라마다 호텔에서 김관영 도지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협약식을 갖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왼쪽부터 강임준 군산시장, 김관영 도지사, 지앙미아오 지이에코리아 대표, 김규현 새만금개발청장, 조현찬 새만금산업단지 단장)  /전북도 제공
새만금 국가산업단지에 한중합작으로 역대 최대 규모인 1조 2100억원을 투자해 이차전지 소재 전구체 생산 시설을 건립하는 GEM코리아뉴에너지머티리얼즈(주) 투자협약식이 24일 군산 라마다 호텔에서 김관영 도지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협약식을 갖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왼쪽부터 강임준 군산시장, 김관영 도지사, 지앙미아오 지이에코리아 대표, 김규현 새만금개발청장, 조현찬 새만금산업단지 단장) /전북도 제공

새만금 국가산단에 1조2천억원 규모의 이차전지 생산시설이 들어서기로 하면서 전북의 새로운 미래 먹거리가 될지 주목된다.

24일 새만금개발청은 군산 라마다호텔에서 지이엠코리아뉴에너지머티리얼즈㈜와 1조 2100억원 규모의 투자협약을 맺었다.

새만금개발청이 문을 연 이래 제조분야 역대 최대 규모의 기업유치 성과다.

전북지역 내 외국계 기업 유치 규모로도 최대다.

지이엠코리아뉴에너지머티리얼즈㈜는 글로벌 배터리기업인 SK온과 국내 최대 전구체 기업 에코프로머티리얼즈, 중국의 전구체 제조 기업인 지이엠(GEM)이 공동 설립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김규현 새만금개발청장과 김관영 전북도지사, 김병훈 에코프로머티리얼즈 대표이사, 허개화 지이엠(GEM) 회장, 최영찬 SK온 경영지원총괄 사장 등이 참석했다.

지이엠코리아뉴에너지머티리얼즈㈜는 오는 6월 새만금 국가산단 33만㎡에 이차전지 전구체 생산시설을 착공할 계획이다.

이를 계기로 전북은 ‘이차전지 산업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차전지 산업을 지역 전략산업 중 하나로 삼고 있는 전북도는 관련 생태계 조성은 물론, 가치사슬체계 완성을 위해 이른바 ‘알짜기업’ 유치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도내 대학·연구기관들과의 협업을 통해 연구개발(R&D) 지원, 전문인력 양성 등 기반을 차근차근 준비해 가고 있는 중이다.

도는 지난 2020년부터 올 2월까지 24개의 이차전지 관련 기업을 유치했다.

투자규모는 약 2조원에 달한다.

현재 전북은 ‘이차전지분야 선도지역’이라 불릴 정도로 인프라가 탄탄하다.

최근 유치한 지이엠코리아뉴에너지머티리얼즈(주)의 1조2천억원 투자 결정은 이차전지 혁신 허브를 조성하려는 전북도에게 큰 힘이 되고 있다.

앞서 지난 2020년 SK넥실리스, 2021년 천보BLS, 2022년 대주전자재료 등 대·중견 기업 포함 굵직한 이차전지 기업도 잇달아 전북으로 유치했다.

이외에도 이엔드디, 테이팩스, 에너에버배터리솔루션, 프로그린테크를 전북으로 유도해 이차전지 산업 거점화를 완성하기 위한 노력도 펼치고 있다.

  도는 기업 투자유치 라운드 테이블 개최, 전문인력 양성 협약 등 이차전지 산업의 지속적 발전과 활성화, 관련기업 유치를 위한 노력도 병행 중이다.

지난 14일에는 이차전지 혁신허브 조성을 위한 비전선포식도 개최했다.

이번 지이엠코리아가 입주하는 새만금산단의 경우 세계적 이차전지 리싸이클링 기업으로 성장 중인 성일하이텍과 관련업계에서 확고한 입지를 구축한 천보BLS, 대주전자재료가 입지한 곳이다.

관련기업들의 집적화를 통한 이차전지 혁신허브 조성에 최적지라는 평가를 받는다.

김관영 도지사는 “전라북도에 최근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는 이차전지 산업과 관련된 기업들의 투자가 지속되고 있는 것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라며 “유치된 기업들이 지역에 잘 정착하고, 지역에서 성장해나갈 수 있도록 이차전지 특화단지 조성 공모를 포함해서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 나갈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전북도는 최근 3년간 지역 내에 투자를 결정한 이차전지 분야 25개 기업과 관련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한 결과, 도내에서 4조8천억원의 생산·부가가치 유발과 3만3천871명의 고용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집계됐다.

/박정미기자 jungmi@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