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의 화원' 박혜숙 시집
시인이 바라보는 세상 자연과 관계 통해
문학적 감성-지향하는 시세계 표현

박혜숙 시인의 시집 ‘시의 화원’이 출간됐다. 지난 2020년 시집 ‘태양의 화원’ 이후 3년 만이다. 시집 제목에서 유추할 수 있듯 이번 시집은 자연의 모든 것을 시적 소재로 삼았고, 이것이 시인의 문학적 삶으로 화려하게 전환됐음을 알 수 있다. 자연의 원리에 근본을 둔 창작에 아름다운 시인의 영혼이 깃들어 있는 것이다.

자연은 도의 미적 표현이다. 마음과 물질이 서로 교감하는 관점이 성립된다. 문학이란 자연현상과 사회현상을 통해 도를 밝히는 그릇이라면, 자연의 변화에 감동해 사람의 마음도 동요되기 마련이다.

박혜숙 시인의 시에서는 끊임없이 자연과 교감하는 시적 감동을 보여준다. 간결한 말과 풍부한 표현, 주저없이 명쾌하게 나타나는 작가의 의도, 표현이 아름다우면서도 화려하나 지나치지 않는 시인의 다양한 글들은 시가 지니는 중요한 의의로써 사상과 감정을 표현한다.

시인이 바라보는 세상은, 시인이 꿈꾸는 세상은 자연과의 관계를 통해 문학적 감성과 지향하는 시세계를 보여주고 있다. 작품 ‘파초’나 ‘목화’ 등과 함께 식물이 아닌 매미를 관찰하는 ‘허물’ 등에서 자연을 관찰하고 그곳에서 생긴 물음에 세상을 바라보는 자기배려의 시선까지 표현한다.

자연을 바라보는 시인의 눈은 ‘이슬’을 보면 결국 정화의 공간임을 알게 된다.

시집 제목에서 알 수 있듯, 시의 화원은 자연의 화원이며 동네 주변의 소박하고 아름다운 자연환경과 숲 나무들이 창작의 길에서 늘 길벗처럼 함께해 온 것이다.

이렇듯 시인은 자연의 원리에 근본을 두고 작품을 창작하고 있으며, 자연에 순응하면서 문장의 재능을 배양하고 품격을 형성하고 있다. 박혜숙 시인의 작품 소재가 되는 자연은 그 자체만으로 역사적 가치를 지닌 경우도 많다. 그러기에 바다, 거미줄, 수련, 물망초, 은방울꽃, 맨드라미, 능소화 등 시인이 선택한 관찰의 대상은 한 편의 시로서 더욱 특별한 의미가 부여된다.

또 박혜숙 시인은 시를 통해 자신을 바라보면서 성찰하고 구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런 성찰은 만해 한용운 같이 구도자의 구도하는 삶과 같다. 바른 길을 찾아 나섬으로써 참 나를 찾아가는 삶인데 특히 ‘오수’, ‘문득’, ‘고향무정’ 등에서 시인의 구도자적 삶과 만날 수 있다.

조미애 시인은 “박혜숙 시인의 시 세계는 자연의 원리를 탐구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며 “자연을 관찰하고 관조하는 시적 수용은 시인에게 구도자적 삶을 선택하도록 하고 비움의 철학을 실천하도록 한다”고 밝혔다.

시인은 “시의 꽃밭을 가꾸듯 꽃을 피운 시가의 음율이 독자들에게 공감의 울림으로 다가갔으면 하는 바람으로 오래 묵은 원고와 보물을 찾듯 가려낸 작품들과 근작 시 작품들로 시의 화원을 상재한다”며 “품안에서 혼신으로 키운 시의 꽃씨가 자유롭게 날아 시를 사랑하는 모든 분들에 찾지해 작은 위안과 행복을 안겨주는 문향의 시의 화원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지난 2004년 문예사조 ‘겨울 민들레’ 외 2편으로 등단한 시인은 전북문인협회, 전북시인협회, 정읍내장문학회, 문예사조, 전북불교문학회, 한국여성시 정읍지부 등에서 활동했다. 제5회 농촌문학상, 정읍시예술인상, 제1회 정읍문학대상 본상, 정읍사 전국여성백일장 차상, 부안 문화원 주최 전국여성매창백일장 차상, 정읍교육청 주관 자모공상과학 글짓기 최우수상, 정읍 세계일보 기행문 글짓기 최우수상, 갑오동학 전국미술대전 입상 2회 등의 수상 이력이 있다.

/조석창기자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