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은 그대로 두고 용량만 줄이는 '꼼수 가격 인상'(슈링크플레이션) 행태에 대해 정부가 칼을 빼들었단 소식이다.

업체들의 눈속임 가격 인상이 체감물가 상승으로 이어진다는 판단에서다.

정부는 식품업체를 향해 세무조사까지 거론하며 연일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지만, 이와 같은 사실상의 가격 통제가 더 큰 부작용을 불러올 것이란 우려도 따른다.

16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14일 서울 이마트 용산점을 찾아 식품업체들의 눈속임 가격 인상 행위를 정조준했다.

해태제과는 지난 7월 한 봉지에 415g이던 고향만두 용량을 378g으로 줄였고, 오비맥주는 지난 4월 카스 맥주 묶음 팩의 1캔당 용량을 375mL에서 370mL로 줄이는 등 식품업체들이 가격은 유지한 채 내용물을 줄이는 형태의 가격 인상이 이어지고 있다.

추 부총리는 이에 대해 "소비자가 부지불식간 양이 줄었는데 줄었는지를 모르고 소비하는 경우가 많을 수 있다.

정직한 경영이 아니다"며 "가격 표시, 함량 표시, 중량 표시가 정확해야 하고, 정확하지 않으면 현행 법규에 따라서 엄정하게 제재를 받아야 한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할당관세나 국제 곡물가격 하락으로 이익을 본 업체가 가격을 올리는 행태에 대해선 기업에 부당 이익이 생기면 결국 세금을 통해 국고로 돌아오도록 하는 과정을 진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편법 회계처리에 대해선 세무당국이 엄밀히 보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세무조사를 거론하며 기업의 가격 인상 자제를 압박한 셈이다.

정부가 소비자단체 대표와 만나 기업의 가격 상승에 대해 목소리를 내달라고 당부하는 이례적 모습도 연출됐다.

이처럼 정부가 식품 기업들을 향해 압박 수위를 높이는 배경에는 이들 업체가 물가 상승기에 편승해 과도한 이익을 추구하고 있다는 '그리드플레이션'(탐욕+인플레이션)에 대한 의구심이 깔려 있다.

식품 업체의 탐욕이 소비자 체감물가 상승으로 이어져 물가 안정 저해 요인이 되고 있다는 인식 때문.

실제 올해 상반기 식품업체들의 실적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심의 영업이익은 117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4.5% 늘었고, 빙그레(160.3%), 해태제과(75.5%), 풀무원(33.2%) 등도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정부의 가격 통제가 부작용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는 게 사실이다.

그러나 눈가리고 아웅하는 식품업계의 ‘슈링크플레이션’ 행태를 그저 보고만 있을 수도 없다.

정부가 나서 적절한 대책을 내놓아야할 시기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