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의 준공 전 주택 미분양 아파트와 준공 후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악성 미분양 아파트’가 좀처럼 줄어들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단 소식이다.

지난해 말 감소세로 접어들었던 미분양·악성 미분양 아파트는 올해 들어 한때 줄어들었다가 최근 또 다시 늘어난 상황이어서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전북의 악성 미분양 물량 규모는 일부 타 지역에 비해 위험 수위는 아니지만 부동산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어 쉽사리 수그러들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다.

최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10월 전국 기준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총 1만224가구를 기록했다.

증감을 반복하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지난 7월 9천41가구, 8월 9천392가구에 이어 9월 9천513가구를 기록한 뒤 2년8개월 만에 1만가구를 넘어섰다.

전북의 같은 달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150호로 전월과 같았으며, 지난해 12월 85호였던 것과 비교하면 무려 65호나 늘어났다.

같은 달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5만8천299가구로 9월보다 1천507가구인 2.5%가 줄었다.

전북 미분양 주택도 지난 2021년 2월(133가구)을 기점으로 2022년 12월 2천520가구, 올해 9월 3천366가구에서 10월 3천227가구로 139가구(4.1%) 소폭 감소했다.

준공 전 주택 미분양이 소폭 감소하는 것과 달리 악성 미분양인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줄어들지 않고 있는 것은 이미 준공됐는데도 타 지역에 비해 입지가 좋지 않거나, 소비자가 원하는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북지역 중소형 건설사들도 지난해부터 시작된 고금리 기조와 레고랜드발 프로젝트파이낸싱(PF) 자금경색까지 겹치면서 현금 유동성이 부족해 도산 위기까지 내몰릴지 모른다는 우려가 지속되고 있다.

전북을 비롯해 전국적으로 많은 미분양 물량이 소진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시장이 전반적으로 회복됐다고 보기에는 아직 이른 것 같다는 시각도 있다.

신규 주택 공급 역시 인기 지역을 중심으로 집중될 것이라는 예상이다.

대한주택건설협회 전북도회는 미분양 물량이나 악성 미분양 물량이 해소돼야 자금을 융통할 수 있는 여력이 생겨 건설사들도 사업을 계속할 수 있는 것 아니냐는 입장.

최근 지속되고 있는 원자재 가격 상승에 금리와 물가 등 전반적인 국내 경제 상황이 좋지 않아 사업을 축소하거나 포기하는 건설사도 덩달아 늘어나는 등 적어도 내년까지는 이 같은 건설업계 난항이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도 내놓고 있는 상황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