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밥그릇도 챙기지 못하는 전북 정치권’이란 비난의 목소리가 높다.

10석 사수 실패라는, 전북이 우려했던 최악의 시나리오대로 선거구가 획정됐기 때문이다.

22대 국회의원 총선을 4개월 앞두고 선거구획정위원회는 전북의 10개 선거구를 9개로 축소하는 내용을 담은 획정안을 김진표 국회의장에게 제출했다.

만일 이 안이 그대로 획정된다면 전북은 사상 초유의 한 자릿수 선거구로 축소되는 것은 물론 일부 선거구는 현역 의원간 생존을 건 경쟁도 불가피하게 됐다.

특히 더불어민주당 소속인 완주진안무주장수 안호영, 김제부안 이원택, 정읍고창 윤준병 의원 등은 선거구 축소에 직접적 영향을 받게 됐다.

선거구 축소라는 직격탄을 맞은 전북은 5일 하루종일 술렁였다.

더불어민주당 중심의 도내 정치권은 '수용불가' 입장을 밝혔고 의원들간 의견을 종합해 조만간 공식 입장을 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10개 선거구가 9개로 축소될 경우 21대 전북 정치권에 대한 도민들의 비판이 고조될 수밖에 없다.

전북 입장에선 선거구의 최종 획정 전에 한 번 더 기회가 있다.

민주당 차원의 지원을 얻는 것이다.

민주당 조정식 사무총장과 김영배 정치개혁특위 간사는 국민의힘 의견만이 반영된 편파적 안으로 결코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공직선거법 제25조는 선거구를 획정함에 있어 인구기준과 농산어촌의 지역대표성, 지방소멸 등을 반영하도록 한 것인데, 이런 기준은 무시되고 특정정당에 편향된 획정 안을 제시했다는 것이다.

특히 균형발전과 농산어촌의 대표성을 반영하지 않았다는 것.

민주당은 수도권의 선거구 증감은 수도권 중심으로 조정하고 지방 선거구수는 지역균형 발전을 고려하도록 정개특위에서 수차례 주장했고 정당 진술에서도 입장을 제시했지만 강남구는 합구하지 않고, 전북을 1석 줄이는 안을 편파적으로 결정해 국회에 제출됐다.

타 시도는 멀쩡한데, 전북만 의석을 잃는다는 건 어떤 이유나 명분에서도 받아들이기 어렵다.

20대 총선을 앞둔 지난 2016년 전북 선거구는 기존 11석에서 10석으로 1석이 감소하는 선거구 획정안을 받아들였다.

7년 뒤인 올해 또 다시 1석이 줄어드는 획정안이 국회에 제출됐다.

그동안 여러 차례 균형발전과 농산어촌의 대표성 반영이라는 담론은 펼쳐왔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지역의 특성은 고려되지 않고, 특정정당의 편향된 획정안을 그대로 받아들여야 하는 것인지, 전북 정치권이 이렇게 무능했나 싶을 정도다.

남은 기간 정개특위를 통해 10석 사수에 전력을 다해 나가야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