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50년 뒤부터는 인구 3600만명 중 절반 이상이 노인이라는 충격적 전망이 나와 이목을 끌고 있다.

50년간 무려 1천550만명 가량이 급감, 3600만명 선에 머물 것이란 통계수치가 나왔다.

문제는 이런 수치가 현재 0.7명 선에서 1.0명선으로 출산율이 반등할 것이라는 비교적 긍정적 가정에서 계산한 추정치라고 한다.

출산율이 현재와 엇비슷한 0.7~0.8명선에 머무는 시나리오에서는 무려 2000만명 이상 줄면서 3000만명 선을 지키기도 빠듯할 것으로 관측됐다.

현재 총인구의 70%를 웃도는 생산연령(15~64세)은 50년 이후에는 절반 밑으로 추락하게 된다.

0~14세 유소년 인구는 6% 선으로 쪼그라들고,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50%에 육박하면서 극단적 초고령 사회에 진입하게 될 전망이다.

인구피라미드는 현재의 ‘항아리형’에서 ‘역삼각형’구조로 변화하게 된다.

‘국가 소멸’까지 거론할 정도로 해외에서도 주목하는 우리나라의 가파른 저출산·고령화 추세가 고스란히 반영된 전망치로 보인다.

통계청은 이런 내용을 담은 ‘장래인구 추계 : 2022~2072년’을 발표했다.

2년 주기로 작성되는 인구추계는 2022년 인구총조사(등록센서스) 결과와 최근까지 인구변동요인 추이를 반영해 미래 인구변동요인을 가정하고 향후 50년간 인구를 전망한 결과라고 한다.

총인구는 출생자에서 사망자를 뺀 국내 자연 증감분에 유학과 해외 근로 등 국내 거주 외국인의 동향이 합산된 개념이다.

총인구는 이미 2020년 5천184만명으로 정점을 찍으면서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넘어서는 데드크로스(Dead Cross)에 진입했다.

연령별 비중을 보면, 15~64세의 생산연령인구는 2022년 71.1%(3천674만명)에서 2072년 45.8%(1천658만명)로 줄어들게 된다.

생산연령 인구수가 현재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는 예측인 셈이다.

기간별로는 2020년대에는 연평균 32만명씩 감소하다가, 2030년대에는 50만명대로 감소폭이 커지게 된다.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같은 기간 898만명(17.4%)에서 1천727만명(47.7%)으로 불어 나게 된다.

0~14세 유소년 인구는 2072년 238만명(6.6%)으로, 2022년 595만명(11.5%)의 40% 수준에 그치게 된다.

고령인구가 생산연령인구를 웃도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유소년 인구의 7.3배에 달하게 된다는 뜻이다.

인구피라미드 형태는 현재 30~50대가 최대 비중을 차지하는 항아리형에서, 60세 이상부터 점차 두터워지는 역삼각형 구조로 변하게 된다.

1960년의 뚜렷한 삼각형 구조와 비교하면 1세기 만에 정반대로 뒤집어진다는 뜻이다.

초고령사회로 접어든 대한민국의 미래가 결코 장밋빛 청사진만은 아니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