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를 먹으면 누구든 노인이 된다.

이는 그 누구도 열외일 수 없다.

그래서 많은 이들이 노후에 대해 걱정한다.

생계 유지 등을 이유로 폐지를 줍는 65세 이상 노인이 4만2천명에 이른다는 조사 결과가 나와 충격을 주고 있다.

이들은 일주일에 6일, 하루에 5시간 넘게 폐지를 주워도 한 달에 고작 16만원을 손에 쥐었다.

이는 남의 일이 아니다.

우리에게도 닥칠 수 있는 미래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28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23년 폐지 수집 노인 실태조사’결과와 지원대책을 공개했다.

정부 차원의 폐지 수집 노인 실태조사와 지원책이 나온 건 이번이 처음이라고 한다.

이번 실태조사는 전국에 있는 고물상 4천282곳 중 지역 대표성을 가진 105곳을 표본 추출한 뒤 이곳에 폐지를 납품하는 노인의 수를 확인해 전국 단위 규모를 추계했다고 한다.

더불어 폐지 수집 노인 1천35명을 일대일 대면조사 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복지부는 내년 1월부터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지역 내 폐지 수집 노인을 전수조사한 후 이들에게 노인 일자리 등을 지원할 방침이다.

실태조사 결과 폐지 수집 노인의 평균 연령은 76세였다.

남성이 57.7%를 차지해 여성보다 많았다.

1인 가구가 36.4%, 2인 가구가 56.7%를 차지하는 등 평균 가구원 수는 1.7명이었다.

이들은 평균 하루에 5.4시간, 일주일에 6일 폐지를 주웠고, 이걸로 월 15만9천원을 벌었다.

폐지를 줍는 시간당 소득은 1천226원으로, 올해 시간당 최저임금 9천620원의 12.7%에 불과하다.

올해 폐지 1㎏당 가격은 한국환경공단 집계 기준 74원으로, 지난해 84원 대비 10% 이상 하락했다고 한다.

리어카 가득 100㎏를 채워도 8천원이 채 안되는 셈이다.

이들이 이처럼 거리에서 폐지는 줍는 이유는 ‘생계비 마련’ 때문이었고, 이는 절반(53.8%)를 차지하는 비율이었다.

또 다른 이유도 있다.

‘용돈이 필요해서’(29.3%) 등 대부분 경제적 이유로 폐지를 줍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지를 줍게 된 동기는 ‘다른 일을 구하기 어려워서’(38.9%)가 가장 많았다.

‘현금 선호’(29.7%), ‘자유로운 시간 활용’(16.1%) 등이 뒤를 이었다.

건강상 문제가 없다면 폐지를 지속해서 줍겠다고 응답한 비율은 무려 응답자의 88.8%에 달했다.

정년을 한참 넘는 74세의 나이에도 쉬지 못하고 폐지 줍는 일을 하고 있을 것이라 생각하니 암울하기만 하다.

이들의 고단한 삶을 지역사회, 나아가 정부가 보듬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