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전북에서 청약통장을 사용한 청약자가 단 1%에 불과한 반면, 수도권은 절반 이상을 차지해 ‘청약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단 소식이다.

이는 전북지역 등 지방 보다 시세차익 기대와 청약 대기수요가 풍부한 수도권에 청약통장 쏠림 현상이 커졌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특히 경기 침체와 고금리로 위축된 주택시장에 부동산 PF 부실 악재까지 겹치면서 기존 주택 매각지연이나 분양권 매도지연 비중이 늘어난 것이 주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중개 정보사이트인 직방이 지난해 아파트 청약접수 건수를 분석한 결과 도내 총 청약 건수는 1만4천514건으로 전년 보다 4천165건 늘어났다.

하지만 전북에서 청약통장을 사용한 순위 내 청약 접수 비율은 전국대비 단 1%에 불과했다.

이와 달리 수도권은 청약 집중현상이 뚜렷했는데 전체 청약자 가운데 59%에 해당하는 66만3천68건이 수도권에 청약통장을 사용, 전년 보다 18%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지역에서도 신축아파트 청약경쟁이 활활 타올랐던 때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지난해 7월 청약이 마감된 전주 에코시티 한양수자인 디에스틴 주상복합은 110가구 모집에 9천393건의 청약 통장이 몰려 평균 85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하지만 이는 신축 아파트에 몰린 일시적 현상이었을 뿐, 구축 아파트 청약에는 찬바람이 거세게 불어댔다.

새 집을 구매해 이사를 하고 싶어도 고금리에 자금마련이 어려워 입주를 못하는 사례도 허다하다.

지난해 12월 전북을 포함한 호남권 아파트 입주율은 65.0%로 한 달 전인 11월보다 3.2P 하락한 것이 이를 증명하고 있다.

이는 사실상 청약을 꿈꾸지도 못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경기침체에 고금리가 계속되면서 전북지역 등 지방의 청약률은 수도권과 극명하게 대비되면서 양극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이같은 저조한 청약률은 전북지역 등 지방의 미분양 적체현상을 낳고 있다.

국토교통부의 11월 말 기준 전북의 미분양 아파트는 3천131호.

전달보다 소폭 줄었지만 여전히 심각한 수준이다.

지난 9일 국토연구원의 ‘미분양주택 위기단계별 정책 대응방향’ 보고서에서도 도내 미분양 아파트는 ‘위험발생’ 단계인 100에 근접한 80.2로 ‘관심단계’ 수준으로 나타났다.

전북의 미분양 아파트는 100을 넘어선 제주에 이어 지방에서 두 번째로 높다.

지역 호재, 건설사 브랜드 등 차별화 되고 있는 청약수요의 양극화를 잘 살펴 현명한 청약통장 사용이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해 보이는 시점이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