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준영 전북특자도교원단체총연합회 회장
/오준영 전북특자도교원단체총연합회 회장

전북특별자치도,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의 출범을 축하드린다.

대한민국 네 번째 특별자치시‧도로 발돋움하는 전북은 지방소멸에 대응하는 미래 인재 양성의 교육 시스템 구축을 위한 변화와 노력을 기대하고 있다.

도내 지방소멸 현상과 급감하는 출생률, 그리고 3개 시 인구 집중현상 등으로 인해 시내 또는 군 단위 거점학교를 제외한 나머지 학교들은 소규모 학교를 면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실제로 무주, 진안, 장수, 순창지역은 수년간 연 출생등록이 100명을 넘지 못하고 있으며, 고창, 부안, 임실 지역 또한 100명을 지키기 어렵다.

도내 학생 수 30명 이하 소규모 학교의 비율은 23%, 60명 이하는 48%에 달하고 있으며 그 수치는 매년 급격하게 높아지고 있다.

도와 교육청은 공동의 목표를 설정하여 전북 지역의 교육경쟁력을 높여야 한다.

학교 자치의 범위와 교육 복지의 폭을 넓혀 학령인구 감소를 극복하고 지방소멸을 막아 내야 한다.

전북특별법에 반영된 교육 특례는 자율학교운영, 유아교육, 초‧중등교육, 농어촌 유학 총 네 개 분야다.

지방소멸 가속화를 막아 내기 위해서는 학교의 자율성을 높여 학교별로 특성을 갖도록 해야 한다.

시골의 작은 학교들도 특화된 교육과정을 지니고 있다면 수요를 충분히 부를 수 있다.

예시로 음악 수업을 순증한 악기 연주 특화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과 교과의 적절한 재구성, 공연과 무대에 특화된 중학교 등 지역적인 특성과 교육 주체의 요구를 반영하려는 학교 구성원들의 노력이 충분하다면 특수성 있는 학교를 만들어 갈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의 특성과 요구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교육과정 편성 방향을 학교가 자율적으로 결정하고, 기준 수업시수와 학교 교육 과정 등에서 자율성을 철저히 보장해야 학교의 특성을 부각할 수 있다.

특색있는 교육프로그램은 전국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농어촌 유학 운영을 활성화하고 연결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곧 귀촌의 증가, 생기 있는 교육과정 운영으로 지방소멸을 막는 귀중한 걸음이 될 것이다.

유아교육은 지방소멸 현상과 학령인구의 급감으로 인해 가장 먼저 직격탄을 얻어맞고 있다. 이미 학생이 없어 휴원에 들어가는 학교들이 많다.

영‧유아는 초‧중등학교와 달리 장거리 통학도 어렵다.

소규모 학교라도 교육 소외가 발생하지 않도록 지역 학교의 교육력 확보에 힘써야 하며 학생, 학부모, 학교가 처한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2025년 시행을 앞둔 유보통합과 맞물려 도내 영‧유아교육이 넓은 자율성을 바탕으로 상황에 따라 유연한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도록 법률적 근거를 마련해 나가야 할 터다.

한편, 전북특별법 교육 분야 1차 전부 개정안에 발의된 11개 특례 중에서 4개만 반영된 것은 아쉬움이 남는다.

2차 교육 특례를 통해 교권강화, 학생의 학습권 보장, 학교폭력 해결, 교원의 전문성 강화, 교원 존중 사회 인식 개선, 교원 행정업무 경감 등이 실현되고 전북교육이 대한민국 교육 문제 해결의 선봉장이 될 수 있기를 소망한다.

끝으로, 전북특자도와 특자도교육청은 긴밀한 협조를 유지함과 더불어 교육자치에 대해 이해하고 적극적인 지원에 나서야 한다.

전북특별자치도가 발돋움하는 중심에 전북교육이 자리하기를 기대한다.

/전북특별자치도교원단체총연합회 회장 오준영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