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층의 ‘탈 전북’이 가속화되고 있는 것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그러나 최근 전북을 떠나는 젊은층의 평균 통계치가 나와 충격을 주고 있다.

해마다 20세에서 39세까지의 젊은 청년 8000여 명이 여러 이유들로 타 지역으로 떠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된 것.

이 같은 수치에 급기야 전북자치도가 청년 정책 발굴에 온 힘을 다 하는 한편, 새로운 정책발굴에 나서겠다는 방침까지 세웠다.

전북특별자치도가 초근 내놓은 통계청의 ‘국내 인구 이동 통계’를 보면, 2020부터 4년간 3만3천319명의 청년이 전북을 떠나 다른 시도로 떠나간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로는 2020년 1만168명, 2021년 7천909명, 2022년 8천127명, 2023년 7천115명이다.

최근 4년간 총 3만3319명의 청년이 전북을 등진 셈이다.

그런가 하면, 한 해 평균 8천329명이 고향을 떠난 셈이다.

지난해 청년 출향 인구 중 20∼24세는 11.5%, 25∼29세는 11.1%, 30∼34세는 6.7%, 34∼39세는 4.1%를 각각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층의 출향 행렬과 저출생, 고령화가 맞물리면서 인구가 급감한 전북은 전체 14개 시·군 중 전주를 제외한 13곳이 소멸 위험 지역으로 분류됐다.

익산시 등 6개 시·군은 소멸 위험 진입 단계 지역, 진안군을 비롯한 7개 시·군은 소멸 고위험 지역으로 나타났다.

이런 가운데 전북자치도는 일자리, 주거, 교육, 복지, 문화 등 전반에 걸친 정책을 펼치기로 했다.

이른바 ‘청년 붙들기’ 정책을 펼친다는 방침.

청년 직무인턴 사업, 청년 창업농 영농 정착 지원 사업, 지역 주도형 청년 일자리 사업 등이 그 대표적 정책들이다.

청년 직무인턴은 직무 체험을 통해 역량을 기르면서 진로 탐색의 기회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전북자치도는 직무인턴 사업의 대상을 대학생에서 청년으로 확대해 900여명에게 46억원의 실습비를 지원할 계획이다.

또 청년의 안정적 영농 정착을 유도하는 영농 정착 지원 사업으로 최대 3년간 인당 월 80만∼110만원을 준다.

지원 대상은 2천 여명으로 예상된다.

이 밖에 여러 사업들을 통해 청년들의 탈 전북을 줄여나간다는 사업의 방점을 찍고 있다.

사실 이 모든 것이 얼마만큼 청년들을 붙들 수 있을 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세상은 넓고 할 일은 많다는 고 정주영 회장의 말처럼 한편으론 미래세대 주역인 청년들을 고향에 붙드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라는 생각도 든다.

더 넓은 세상에서 더 많은 것을 배우고 돌아와야 한다.

고향발전을 위해 어떤 것이 정답인지 고민해야 할 시기가 아닌가 싶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