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대-원광대 의대 교수
전국 비대위 25일 사직서
제출 동참··· 정부와 대립각
환자권익내팽개쳐 비난여론

정부의 의대 증원 방침에 반발한 전공의들이 사직서를 내고 근무현장을 이탈한 지 한 달이 넘은 가운데 19일 시내 한 대학병원을 찾은 시민이 고개 숙이고 순서를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의 의대 증원 방침에 반발한 전공의들이 사직서를 내고 근무현장을 이탈한 지 한 달이 넘은 가운데 19일 시내 한 대학병원을 찾은 시민이 고개 숙이고 순서를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전공의 집단행동에 따른 의료공백 사태에 이어 최근 도내 의과대학 대학병원 교수들까지 집단 사직 의사를 밝히면서 환자를 비롯해 보호자의 불안감만 깊어지고 있다.

19일 전북대 의과대학 비상대책위원회(전북대 비대위)에 따르면 전날 오후 교수 전체회의를 갖고 ‘전국의과대학 교수 비대위’의 결정에 함께 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앞서 전국 비대위는 25일부터 사직서를 제출하기로 결정했다.

전북대 비대위 관계자는 “정부가 전공의 등에 대한 특별한 보호 대책을 제시하지 못할 경우 전국 비대위 결정대로 사직서를 제출하기로 뜻을 모았다”면서 “아마도 교수 각자 자율적으로 사직서를 제출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원광대 의대 교수 역시 집단사직서 제출에 동참하기로 했다. 원광대 역시 구체적인 사직서 제출 시기나 방법 등에 대해선 아직 결정되지 않은것으로 파악됐다.

원광대 의대 비대위 관계자는 “우리대학의 입장 역시 전국 비대위 회의 결과와 같다”며 “다만 제출 시기는 전체 교수님들과의 추가적인 논의를 통해 이뤄질 예정이다. 아직 구체적으로 결정된 것은 없다”고 말했다.

앞서 전북대 의과대학 및 전북대병원 교수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82.4%가 '사태 해결을 위한 정부와 대학 측의 조치가 없을 경우 사직서를 제출하겠다'고 응답했다. 

원광대 의대 교수들도 전체 인원의 97%에 달하는 99명이 ‘사직서 제출 등 행동에 나설 수 있다’고 답했다.

이처럼 도내 의과대학 교수들이 집단으로 사직서 제출 움직임 가시화 되면서 이를 지켜보던 내원 환자와 보호자들은 고래싸움에 새우등 터지는 격으로 불안감이 극도에 달하고 있다.

자칫 제때의 수술 또는 치료와 진료를 받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감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의 의대 증원 방침에 반발한 전공의들이 사직서를 내고 근무현장을 이탈한 지 한 달이 넘은 가운데 전국 의과대학 교수들의 집단 사직 또한 가시화하면서 의료 현장의 혼선이 지속하고 있다.

또 도내 의과대학 의대생들도 휴학계를 낸 채 여전히 수업 거부 등 집단행동을 이어가고 있는 실정이다.특히 정부와 의료계가 극대극 대립각의 실마리가 풀릴 기미가 안보이는 상황에서 각자의 주장만을 되풀이 하자 환자들과 보호자들의 권익은 내팽개치고 있지 않냐는 따가운 비난여론이 쇄도하고 있다.

전북대병원에 입원중인 한 환자의 보호자 김모씨는 “이번 의료공백 사태는 과연 누구를 위한 싸움이고, 남는게 무엇인가라고 묻고 싶다"면서 "암환자나 중증환자들이 생명에 위협을 받은 상황에서 의료체계가 좋아지면 뭐하겠느냐”며 “정부와 의료계 모두 한 발짝씩 물러나 이성을 찾아야 한다. 정부와 의료계 모두 암환자나 중증환자들의 치료가 우선일 것이다. 시민 건강을 볼모로 잡지말고 한발씩 물러나 타협할 수 있는 대화의 자리가 필요할 것이다”고 호소했다.

이같이 의료공백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각 지역 주요 병원의 경영난이 심화하자 지방자치단체까지 팔을 걷어붙이고 나서며 의료 차질을 최소화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전북자치도는 재난관리기금 8억 원을 우선 투입했다. 군산·남원·진안 등 3개 지방의료원의 평일 연장 진료와 주말·휴일 진료 확대를 위한 연장근무 수당에 1억6,000만 원을 반영했다.

/정병창기자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