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경기 침체 장기화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에 따른 건설사 부도가 현실화하면서 지역 건설사들의 위기감이 그 어느 때보다 고조되고 있다.

자금 여력이 충분하지 않은 지역건설사들의 자금경색 위기가 더욱 심화할 수 있다는 불안감이 시간이 흐를수록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역건설사들은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3년째 이어지고 있는 고물가, 고금리로 인건비와 자재비가 급등하고 부동산 PF 부실화까지 삼중고에 시달리면서 부도의 쓴 잔을 마셔야하는 상황까지 이어지고 있다.

25일 전북지역 건설업계 등에 따르면 1천여 개가 넘는 도내 종합건설사 중 지난해 손익분기점인 50억원 이상을 수주한 업체는 85개사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들 건설사 가운데는 같은 시기 단 한 건의 공공공사 수주도 못한 업체가 무려 400여 곳에 이를 정도로 수주 침체가 누적되고 있는 상태나는 것.

여기에 올 들어 현재까지 부도 처리된 지방소재 전문건설사는 총 6곳에 이를 정도로 폐업의 위기감은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도내 중견 건설업체에 대한 자금난과 위기설이 나돌면서 소문이 현실화되지 않을까 노심초사하는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새만금 관련 대형공사 현장은 오래전부터 외지 대형건설업체들이 주관사로 컨소시엄을 구성, 대부분의 공사를 독식하고 있어 지역 건설사의 설 자리는 더욱 좁아지고 있다.

공공부문은 물론 민간건설시장에까지 파고드는 외지업체들로 지역업체들이 일감을 확보하지 못하는 처지에 놓이면서 도내 건설업계는 갈수록 쪼그라드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전주시내 대형 민간공사 현장에는 지역업체 하도급 확대와 자재 사용을 권장하면서 하도급계약 45%, 자재사용 67.1% 등 나름대로의 지역경제 활성화 성과를 거두고 있으나 건설경기 위기감을 극복하기에는 역부족인 상태다.

이들 공사의 대부분을 외지 대형건설업체들이 도맡으면서 연간 수조원 이상의 지역자금이 역외 유출되고 있는 것도 큰 문제다.

더욱이 대규모 부동산 PF 뇌관과 경기침체 장기화로 ‘4월 위기설’까지 나오고 있어 총선 이후 부실 사업장 정리와 함께 중견 건설사의 줄도산도 예상되고 있는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이 같은 건설업계의 위기설이 과장됐다는 견해도 없는 것은 아니지만, 상반된 시각 속에 위기를 초래한 PF의 구조적 재편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