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이 22대 총선에서 10석을 유지하는 대신 선거구 일부를 조정하면서, 넓어진 지역 현안과 민의 반영이 향후 관건이 될 전망이다.

의석수 감소 위기는 넘겼으나 선거구 조정으로 인해 기존 시·군의 경계를 넘나들거나, 무려 7개의 읍면동이 조정되는 지역구까지 탄생했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졸속으로 이뤄진 선거구획정으로 일부 지역민들의 피해를 우려하고 있다.

주민들의 의견 한 번 묻지 않고, 졸속으로 결정된 선거구 변경에 유권자는 안중에 없는 정치가 이뤄졌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이번 전북 선거구획정의 특징은 군산에서 대야면, 회현면을 떼어내 김제.부안 선거구에 포함하는 내용을 담았다.

인구 하한선이 무너진 김제.부안에 특례를 적용, 군산 일부를 편입했다.

이에 따라 선거구 명칭은 군산.김제.부안 갑, 군산(회현.대야).김제.부안 을로 바뀌게 됐다.

또 완주.진안.무주 선거구에서 빠진 장수가 남원.임실.순창 선거구에 붙게 됐다.

정읍.고창 선거구는 현행을 유지하게 됐다.

익산 갑을, 전주 갑을병 선거구 역시 종전과 외형은 같으나 선거구 내부의 세부 조정이 이뤄졌다.

이에 따라 이들 선거구에 출마하는 후보들은 선거 운동 전략 수정에 돌입했다.

상황이 급박하게 돌아가다보니 획정지역이 소위 ‘기형적’으로 나눠진 탓이다.

선거 운동의 반경도 넓어졌고, 그만큼 커버해야 할 지역의 민원이나 현안도 커졌다.

전주갑 후보들은 인후동 방면에도 추가 사무실을 내거나, 유권자와의 만남을 갖기 위해 스킨십을 넓혀야만 한다.

군산(회현.대야).김제.부안 을 지역구 후보들도 기존 김제부안에 이어 군산까지 넘나들며 경로당을 중심으로 첫 인사에 나섰다.

남임순을 뛰던 후보들도 장수를 추가로 방문하고, 지역민들과 접촉면을 늘려가고 있는 상황이다.

의석 감소의 위기에서 도내 국회의원들이 10석을 지켜냈다는 점에 나름의 성과를 두고 있다.

그러나 선거구 획정을 인구 하한선에 맞추기 위해 급하게 맞추다 보니 소위 기형적으로 선거구가 획정될 수밖에 없는 부작용을 낳게 됐다.

의원들 역시 지역구가 넓어지면서 챙겨야할 현안도 많아진다는 사실에 대해 인정하면서도 현재로써는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1개의 시와 3개의 군, 4개의 군 등 넓어진 지역을 돌며 유권자들을 만나야 하는 의원들 역시 죽상이기는 마찬가지다.

향후 넓어진 지역 현안과 민의를 어떻게 반영해 나갈지 해법찾기에 골몰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