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살아가자면 별의 별 사람을 다 만난다.

흔히 말하기를 그 사람을 알려면 바둑을 두거나 노름을 해보면 쉽게 알 수 있다고 한다.

바둑이나 노름은 승패를 걸고 대등한 상태에서 겨루는 일이므로 치사한 이면이 쉽게 들어날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성인군자가 아닌 바에야 돈을 내걸고 하는 내기에 쉽게 양보하고 저줄 사람이 흔하지 않을 것은 뻔한 일이 아닌가?문제는 아무리 승부를 건 사이이지만 신사도(紳士道)를 누가 지키느냐 하는 것이다.

세상을 살다보니 아첨 잘하고 이해타산에만 급급한 사람이 있는가 하면 남의 험담만을 장기로 하는 사람도 있고 웬만한 일쯤 가지고는 표정을 짓지 않는 이해심 많은 사람도 있다.

또 자기 아쉬운 일이 있으면 문턱이 닳도록 쫓아다녀도 그 일만 끝나면 내가 너를 언제 봤더냐(?)하는 식으로 담을 쌓고 지내는 사람도 있다.

항시 냉정을 잃지 않는 이기적인 사람이 있는가 하면 걸핏하면 눈물을 흘리는 너무 정적(情的)인 사람도 있고 명예욕이 지독히도 강한 사람이 있는가 하면 돈은 많아도 자기 돈이라면 천원 한 장 쓰지 않는 ‘샤이록’ 같은 사람도 볼 수 있다.

남의 일이라면 항시 발 벗고 나서 도우려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아무런 이해관계도 없는데 남이 잘못 되기만을 바라며 욕하고 다니는 그런 사람도 더러는 있다.

부하직원을 우격다짐으로 짓누르고 군림하려고만 드는 철따구니 없는 덜된 사람이 있는가 하면 자기가 하는 일만이 옳고 다른 사람이 하는 일은 거들떠보려고 하지도 않는 한 쪽이 빈 것 같은 그런 사람도 있다.

남 둘러 먹기를 식은 죽 먹기보다 쉽게 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너무 정직해서 손해를 보기만 하는 그런 사람도 있다.

사람이 일상생활을 하는데 있어 상대성 원리(相對性 原理)에 입각해서 알아야 할 세 가지 요소가 있다 그중 청이(請而)불래(不來)가 있는가 하면 불청(不請)이 자래(自來)가 있고 또는 좌이불거(坐而不去)가 있다.

모름지기 사람은 스스로 접근욕(接近欲)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매력(魅力)을 지녀야 한다.

그러나 인간의 본연의 자세나 마음은 항상 선한데서 우러나오는 것이 아닐까? 갓 태어난 갓난아기의 울음이나 재롱 섞인 웃음 속에서 악의적인 그런 표정을 결코 읽을 수 없는 것은 인간은 태초부터 선한 상태에서 출발한 때문일 것이다.

잘못된 성격을 하루아침에 고치거나 덜된 사고방식을 일조일석에 바꿀 수 있는 것은 어렵지만 인간 본연의 자세로 돌아가 선한 인간적인 태도를 가지려는 그런 노력만은 해야 하지 않을까?

/ 허성배 수필가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