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인의 자녀에게 쏟아지는 사회적 시선은 언제나 차갑다.
하지만 모든 정치인에게 동일하게 그러한가를 물으면, 우리는 불편한 진실과 마주한다.
최근 국정감사에서 심각한 문제로 다뤄진 ‘
국정감사에서 유담 씨의 인천대 교수 임용 과정은 공정성과 투명성은 물론 여러 특혜 의혹이 제기되었다.
우선, 경력이 부족함에도 일부 평가 항목에서 만점을 받았다.
논문의 질에 대한 심사에서는 하위권이었음에도 1차 심사를 2위로 통과했다.
논문 자기표절과 논문 쪼개기는 그동안 국민들이 분노했던 연구윤리의 문제이다.
전공 분야에 대한 불일치 의혹도 불거졌다.
같은 조건의 지원자들이 많았음에도 누구는 만점을 받고 누구는 그렇지 않아 채용 기준 자체가 불분명했다는 지적도 있었다.
대학 측의 채용 관련 서류의 소실도 의혹 그 자체이다.
그런데,
2019년 당시, 조국혁신당 조국 전 비대위원장의 딸 조민 씨에게 가해졌던 가혹한 언론보도를 생각해보자.
언론보도의 양을 비교해본 전문가의 말을 빌리면, 유담 씨 건은 조민 씨 건에 비해 3~5%밖에 나오지 않았다고 한다.
절반도 아닌, 10~20%도 아니다.
당시 조민 씨는 당시 입시 의혹과 함께 사생활까지 연일 언론의 표적이 되었었다.
기어이 대학원에 이어 학부까지도 박탈되는 상황에 이르렀다.
이는 한 인간으로서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이었다.
조국 전 비대위원장에게 비판적인 매체들은 조민 씨의 사적 영역까지 파고들며 ‘공정’이라는 이름으로 사회적 처벌을 정당화했다.
조민 씨에게 쏟아졌던 적개심은 단지 입시 문제 때문만은 아니었다.
한 정치세력에 대한 분노와 도덕적 우월감의 발현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반대로 유담 씨를 향한 관대함은 ‘우리 편의 딸’에게는 쉽게 용서를 베푸는 집단 심리가 작동하고 있다.
공정이란 특정 진영이 아니라 우리 모두의 기본값이어야 한다.
선택적 분노와 이중잣대의 언어 속에서 정의가 사라진다면, 그 피해는 정치인의 자녀에게만 머물지 않는다. 우리 사회 전체의 도덕적 후퇴로 이어질 수 있다.
공정은 언제나 중립의 탈을 쓰지만, 실제로는 권력 지형과 여론의 흐름에 따라 기울어진 운동장으로 작동한다.
공정은 한쪽 눈만으로 세상을 보는 순간 그 의미를 잃는다.
언론의 이중잣대는 진영 논리가 개인의 삶을 짓누르는 도구로 변질될 때 가장 위험해진다. 이게 대중 정서와 결합하면 모종의 ‘사회적 합리성’처럼 굳어진다.
다시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정치적 성향이 아닌 동일한 기준으로 모든 인물을 다뤄야 한다.
언론은 지금 언론 스스로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져야 한다.
‘누가 옳았나?’가 아닌 ‘우리가 얼마나 불공정했는가?’
/강경숙 국회의원(조국혁신당 비례대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