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거석낙마 일찍부터 표몰이
일부 후보 출마 밝히고 행보
1강 없어 끝까지 완주가능성

내년 6월 지선까지 아직 적지 않은 기간이 남았지만, 벌써 교육감 선거에 대비하기 위한 물밑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서거석 전 전북특별자치도교육감이 지난 6월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내려와 선거 1년 전부터 수장 자리가 무주공산 상태에 놓였기 때문.

출마가 유력한 후보군만 김윤태 우석대학교 대외협력부총장, 노병섭 새길을 여는 참교육포럼 대표, 유성동 좋은교육시민연대 대표, 이경한 전주교대 교수, 이남호 전 전북연구원장, 천호성 전주교대 교수, 황호진 전 전북부교육감 총 7명(가나다 순)에 달한다. 일부는 이미 출마 의사를 공식적으로 밝힌 상태다.

먼저 김윤태 우석대 대외협력부총장은 지난 교육감 선거 때 3위를 기록하며 한 차례 얼굴도장을 찍었다. 당시 ‘신분 대물림’ 고리를 끊기 위한 공교육 강화, 교육 불균형 해소 및 학력 신장 지원 등 교육환경 개선에 집중했던 김 부총장은 최근 한 교육포럼에서 교사의 권리와 권익을 강조하며 교사층을 포섭하려는 모양새다.

노병섭 새길을 여는 참교육포럼 대표는 해직교사 출신으로 전교조 전북지부장과 민주노총 전북본부장을 지낸 노동계 인사다. 노 대표는 생태, 기후위기, 평화와 공존, 성평등, 인권, 장애인, 다문화 등 시대상이 요구하는 ‘다양성’ 관련 정책들을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유성동 좋은교육시민연대 대표는 공감·공존·공영 등 공동체 정신과 더불어 무너진 교육 현장의 회복을 핵심 가치로 추구한다. 14년간 초등교사로 재직한 바 있는 유 대표는 뉴페이스인 점을 고려한 듯 토크콘서트, 북콘서트 등 각종 행사를 연달아 개최하며 이름을 알리고 있다.

이경한 전주교대 교수 역시 선거판의 신인이다. 학생의 기본적인 역량을 기르는 교육, 자칭 ‘웰빙’을 핵심 기조로 삼은 그는 출마 시 하위권과 취약계층 학생의 교육 수준을 끌어올리는 정책을 집중 공략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남호 전 전북연구원장은 전북대 총장, 캠틱종합기술원 이사장, 전북창조경제혁신센터 이사장 등 다양한 자리를 두루 거쳐 인맥이 넓다는 평을 받는다.

이 전 원장은 AI 시대에 필요한 것은 모험 인재라는 가치관 아래 학력신장보다는 각 학생의 잠재력을 끌어올리는 맞춤형 교육을 어필할 것으로 보인다.

천호성 전주교대 교수는 지난 교육감 선거를 2위로 완주한 바 있어 인지도 측면에서 강점을 갖고 있다.

천 교수는 교육 관련 세미나와 토론회를 열며 본격적인 워밍업에 나선 가운데, 전통적인 학력 중심 교육을 실패한 정책으로 간주하고 ‘한 사람을 위한 교육’을 어필할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황호진 전 전북부교육감은 지난 선거 때 운영한 각종 SNS 계정을 재가동하며 정책 홍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

황 전 부교육감은 ‘제도보다 사람, 주입보다 성장’이라는 모토 아래 교권확립, 학폭예방, 학부모 교육, 스포츠·예술·문화교육, 장애인 복지, 다문화, 공립 대안학교 등 회복 중심의 정책들을 제시한 상태다.

출마 유력 후보로 꾸준히 거론된 오준영 전북교총 회장의 경우 최근 출마 의사를 거둔 것으로 확인됐다.

한 교육 관계자는 “정치 기본권이 없는 교사들은 예비 선거운동 단계에서부터 손발이 묶인다”며 “이미 다른 후보군들이 앞다퉈 이름을 알리고 있는 상황에서, 전북교총 회장과 교사 자리까지 모두 내려놓기에는 리스크가 크다”고 토로했다.

후보군만 7명에 달하는 이번 선거판의 최대 관심사는 역시 ‘단일화’지만, 지금까지는 미진한 분위기다.

지난 선거는 1강 체제인 점을 고려해 단일화 논의가 재빨리 이루어졌지만, 이번 선거는 후보간 격차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돼 후보군들이 완주 의사를 굽히지 않고 있다.

선거 때마다 단일화를 주도해 온 시민사회단체들도 아직 제대로 된 논의 테이블을 열지 못한 것으로 전해진다.

다음으로는 전주교대에서 한솥밥을 먹고 있는 이경한 교수와 천호성 교수 간의 단일화 여부도, ‘현장 경험이 부족한 교수들이 교육감 자리를 독식하는 것은 옳지 않다’며 떠오른 교사 대 교수 구도도 볼거리다.

학력신장 대신 실력신장을 공통으로 강조하는 이남호 전 원장과 천호성 교수의 대결도 눈길을 끈다.

저마다의 개성을 살린다는 ‘맞춤형 교육’ 콘셉트가 겹친 상황에서, 유력후보로 평가받는 두 인물이 세부 공약의 완성도를 얼마나 높이는지에 따라 표심이 급격히 한쪽으로 쏠릴 수 있다.

/황희원기자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